티스토리 뷰

이 주의 트윗

@unheim : 노동자들의 절절한 목소리가 더 널리 퍼져야 하거늘, 그 목소리가 따옴표로 묶인 채 그 누군가의 '지적 재산권'으로 둔갑해 배포를 거부당하는 이 사태의 황당함보다는.... 공작가의 싸가지에 대한 분노가 더 큰 게죠


 

2009년 여름 쌍용차 옥쇄파업의 이유는 사측의 일방적 정리해고였다. 회사는 정리해고 사유를 ‘경영위기’라고 했다. 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쌍용차의 ‘구세주’로 등장한 중국 상하이차가 핵심 기술을 유출한 뒤 회계를 조작해 회사를 법정관리 체제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쌍용차 노동자들은 처음부터 기술유출을 우려했지만 아무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정리해고 이후 법정 관리인은 회사의 운명과 국가 경제를 대의로 내세우며 노동자들을 배제했고, 이명박 정부와 언론은 그 논리를 그대로 차용했다.

소설가 공지영이 ‘첫 르포르타주’란 타이틀을 걸고 펴낸 ‘쌍용자동차 이야기’ <의자놀이>가 일부 글을 ‘예외적 인용’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벌어진 논란은 3년 전과 겹쳤다. 성공회대 교수 하종강과 르포작가 이선옥이 <경향신문>과 <이코노미 인사이트>에 기고한 칼럼과 르포르타주의 일부는 <의자놀이> 22~24쪽에서 마치 공지영이 쓴 것처럼 옮겨져 있다. 책 말미에 하종강 칼럼을 ‘출처 및 참고자료’로 표시했지만, 22~24쪽만 봤을 땐 인용 글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 다른 인용 글은 앞에도 똑같이 저자를 밝히고 있고 들여쓰기도 되어 있지만, 유독 22~24쪽만 달랐다. 게다가 일부 표현이 수정되기도 했다. 하종강과 이선옥은 문제를 제기했고, 출판사인 휴머니스트 편집진은 공지영을 대리해 ‘울면서’ 상황을 설명했다. 정작 당사자인 공지영은 문제를 외면했다.


그러자 논란은 이상한 방향으로 흘렀다. 지적 재산권이 문제의 본질처럼 호도됐다. 공지영의 ‘싸가지’에 대한 편견이 핵심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동양대 교수 진중권은 트위터(@unheim)로 이 이상한 흐름의 물꼬를 텄다. 급기야 출판사는 16일 ‘표절위원회 위원’에게 자문해 <의자놀이>가 표절이 아니고, 법적 하자도 없다는 해명까지 했다. 하지만 하종강과 이선옥은 한 번도 자신들의 지적 재산권을 요구한 적이 없고, 애초에 공지영에게 사과를 요구한 적도 없다. 적어도 공지영이 트위터에서 ‘내부의 적’ 운운하기 전까지는.


여기서 핵심은 어떤 대의에 의해 배제된 한 르포 작가의 존재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르포르타주’라는 형식을 내세워 대의를 추구한 공지영에게 필요했던 건, 자신이 배제한 노동자가 현장에서 직접 쓴 르포르타주에 빚지고 있음을 인식하는 일 아니었을까. 하지만 공지영은 ‘쌍용차 노동자를 위함’이란 대의를 내세우며 또 다른 노동자의 실존을 외면했고, 진중권은 그 논리를 그대로 차용해 대의의 깃발만 강조했다.


트위터를 통해 많은 이들이 이선옥의 처지에 동의했던 것은 어떤 동정의 감정이나 공지영의 ‘싸가지’에 대한 분노가 아니었다. 그들은 진보 진영 내에서 어떤 대의를 추구할 때 늘 ‘별것 아닌 문제’로 치부되고 말았던 어떤 실존에 대한 배제가 언제든 자신에게 돌아올 부메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연대했다. 하지만 이번 논란에서 ‘노동자의 절절한 목소리가 더 널리 퍼져야 하는’ 대의를 빌어 담론이 유통되는 방식은, 회사존속과 경제회복의 논리를 빌어 노동자를 배제하는 방식과 아프게도 닮았다. 3년 넘도록 평택과 대한문 텐트, 그리고 희망식당을 오가며 함께 뒹굴었던 쌍용차 노동자들과 이선옥을 같은 방식으로 배제하는 그 대의는 결국 누구를 위함인가.


*분량 때문에 <한겨레21> '크로스 - 이 주의 트윗'에 양을 줄여서 게재한 글의 원글.

실린 글과 이택광 선생의 글은 여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