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재훈의 인앤아웃 no.31
그는 20년 삶을 간단하게 돌아봤다. 초등학교 때부터 혹은 그 이전부터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 살아왔고, 결국 남들이 명명하는 '명문대'에 합격했다. 다들 그렇게 살았으니까 당연한 줄 알았다고 했다. "이미 주어진 하나의 정답 앞에 물음은 의미가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문득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왜 친구들과 전부 똑같은 것을 위해 경쟁해야 하는지, 왜 수많은 아이들이 패배자가 되어야 하는지, 왜 이 고통을 감수하며 살아야하는 지' 스스로에게 물었다. 자신을 둘러싼 이데올로기에 대한 첫 회의였다. 회의 끝의 선택은 강요된 이데올로기, 즉 명문대에서의 이탈이었다.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는 선언을 남기고 고려대를 자퇴한 김예슬(24)씨는 이후 숱한 되물음에 시달렸다. '전태일의 일기를 보는 것 같다', '사람임을 재확인하고 선포하는, 봄처럼 아픈 절규'라는 감흥이 있었다. 하지만 '현실을 모르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치기'로 보는 배제적 시각, '명문대 출신이니 파장을 던질 수 있는 것'이란 냉소도 있었다. '서로를 침범하지 않으며 적당한 거리두기로 착하고 매너있게 관계를 유지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처세적 관점도 돌아왔다. 감흥은 부담이 됐을 것이고, 배제와 냉소와 처세는 아팠을 것 같다.
선언 이후 김예슬의 고민이 책으로 묶여 배달된 날, 그가 거부한 대학의 총장인 신임 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이 "100억 정도 기부해 건물을 지어주면 2세나 3세에 대해 입학을 허용하는 것도 괜찮다"고 말했다는 뉴스가 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