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텍스트와 영화의 텍스트는 엄연히 다르다. 하지만 그 엄연히 다르다는 명제는 모두에게 강박적 규범이 될 순 없다. 텍스트의 크로스오버는 그래서 그 강박에 대한 해체 시도다. “영화가 당연히 이래야지”라는 말은, 그 말의 발화자가 영화를 보기 전 이미 그 영화가 가진 내러티브를 예상하고 봤다는 걸 전제로 한다. 그렇기에 영화가 단순히 예측 가능한 텍스트로 자발적 마스터베이션을 유도하는 도구가 된다는 건 영화에 대한 모독 아닐까, 라고 정성일은 생각한 것 같다. 영화에 대한 사랑으로,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라고 말하는 정성일의 첫 영화 는 그래선지, 영화 그 자체의 내러티브 기법보단 문학적 텍스트의 반복적 전달 기법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도입부에서 ‘세계소년소녀 교양문학전집’이란 말로 명..
영화와 책, 두근거림
2011. 1. 4. 09:1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트위터
- 욕망
- 연쇄실종
- 좌파
- 하종강
- 연쇄살인
- 범죄
- 지방선거
- 폭력
- 관계
- 남아공월드컵
- 국공립대통합네트워크
- 월드컵
- 촛불
- 표창원
- 이명박
- 살인
- 노동
- 화성
- 교육
- 쌍용차
- 죽음
- 쌍용차 옥쇄파업
- 신자유주의
- 진중권
- 한나라당
- 정치
- 천안함
- 김진숙
- 진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