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훈의 인앤아웃 no.8 1996 비아르 舊 자이르 photo by 성남훈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은 이들은 고개를 갸웃했다. 한결같이 참담하고 먹먹하다고 했다. 쭈뼛거리며 책을 들었더니, 그 반응은 슬몃 이해가 되면서도 언뜻 표상적이란 생각이 들었다. 책엔 병자호란 때의 처절했던 역사가 담담하지만 숨막히는 문체로 서술돼 있었다. 국제관계의 소용돌이 속에서 소설 속 개인들은 국가가 요구하는 당위에 얽매이지 않았다. 무너지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개인이 희생돼야한다는 이데올로기를, 김훈은 강요하지 않았다. 개인은 철저히 생존 본능에만 충실했다. 그 ‘속물적’ 선택들은 우리에게 내 속의 본능을 날 것 그대로 쳐다봐야하는 불편함을 안겼다. 하지만 그 불편함이 국가가 요구하는 당위에 길들여진 것이란 사실을 문득..
너를 바라보는 시선
2009. 10. 13. 08:3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천안함
- 살인
- 하종강
- 정치
- 이명박
- 화성
- 쌍용차
- 좌파
- 관계
- 범죄
- 신자유주의
- 표창원
- 진중권
- 촛불
- 욕망
- 폭력
- 연쇄살인
- 월드컵
- 국공립대통합네트워크
- 노동
- 트위터
- 교육
- 죽음
- 지방선거
- 진보
- 쌍용차 옥쇄파업
- 남아공월드컵
- 김진숙
- 한나라당
- 연쇄실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